사회생활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적은 월급으로 재테크를 한다는 게 가능할까 하는 생각부터 들었습니다. 월급 250만 원. 넉넉하지 않지만 꾸준히 들어오는 이 돈을 어떻게 쓰고, 또 얼마나 아낄 수 있는지 몸으로 겪어가며 재테크를 배웠습니다. 특별한 기술이나 정보 없이도, 작은 실천만으로도 변화는 시작됩니다. 이 글은 재테크 ‘입문’을 고민 중인 분들에게 아주 현실적인 후기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소비 구조부터 들여다봤습니다 (지출 분석, 월 예산 계획, 습관 교정)
회사 첫 월급을 받고 나서, 딱 한 달만에 모든 돈이 사라졌습니다. 남은 건 통장 잔고 3,200원. 월급 250이면 어느 정도 여유가 있을 줄 알았지만, '그냥 쓰는 대로 쓰면 안 된다'는 걸 절실히 느낀 순간이었죠. 그때부터 제가 한 첫 번째 일은 '돈을 어디에 쓰는지' 파악하는 것이었습니다. 소비 카테고리를 나눠봤죠. 식비, 교통비, 통신비, 유흥비, 카페비, 옷·잡화 등. 막상 적어보니 불필요한 곳에 새는 돈이 많더라고요. 특히 배달과 커피에 한 달에 30만 원 넘게 쓰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바로 실행한 건 고정비 줄이기입니다. 휴대폰 요금제는 저렴한 알뜰폰으로 변경했고, OTT는 친구들과 나눠서 결제했습니다. 가장 효과적인 건 '무지출 데이'를 정해두는 거였어요. 일주일에 2~3일은 아예 카드와 현금을 꺼내지 않는 날로 설정했죠. 이렇게 첫 달엔 지출 구조만 바꿨는데도 30만 원 넘게 남았습니다. 별다른 절약 없이도 말이죠. 이걸 시작으로, ‘재테크는 고수만 하는 게 아니다’라는 걸 느꼈습니다.
적금부터 시작한 이유 (재테크 입문, 실천법, 습관화)
저처럼 금융지식이 거의 없는 사람에게, 주식이나 코인은 진입장벽이 높게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선택한 건 가장 기본적인 정기적금이었죠. 은행 앱에서 비대면으로 6개월짜리 적금을 만들고, 매달 20만 원씩 자동이체 설정을 했습니다. 처음엔 이 금액도 아깝게 느껴졌지만, 두세 달 지나니 통장에 돈이 쌓이는 게 꽤나 뿌듯하더라고요. 중요한 건 금리가 아니라 '돈을 모은다'는 습관 자체였어요. 중간에 깨지 않고 채워낸다는 성취감이 꽤 큽니다. 다음으로는 자동저축 앱을 활용했습니다. 일부 앱은 결제할 때마다 잔돈을 절약하거나, 설정한 금액만큼 강제로 이체해줘서 생각보다 효과가 컸습니다. 저도 무의식적으로 새는 돈을 막고 싶어서 매일 3천 원씩 자동저축되게 설정해뒀는데, 두 달 만에 18만 원이 쌓였어요. 이런 작은 성공 경험들이 쌓이니까 ‘나는 돈을 잘 못 모은다’는 부정적인 생각에서 벗어나게 되더군요. 재테크는 결국 ‘습관 게임’이라는 걸 조금씩 체감했습니다.
돈을 불리는 연습도 조금씩 (소액 투자, 리스크 관리, 경험 축적)
적금을 몇 개월 하다 보니, ‘이제는 조금 불려봐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겁도 많고 투자 지식도 거의 없어서, 소액 ETF 투자부터 시도했습니다. 한 달에 5만 원씩만 투자하면서 ETF란 무엇이고, 어떤 구조로 수익이 나는지를 공부했습니다. 요즘은 증권사 앱 안에 공부자료도 많고, 모의투자 기능도 있어서 부담 없이 접근할 수 있었어요. 처음엔 하루에 몇백 원 오르고 내리는 게 신기했고, 그 덕에 뉴스도 찾아보게 되고, 경제 흐름에 관심도 생겼습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건, 잃어도 불안하지 않을 만큼만 투자하는 겁니다. 감정적인 매수·매도를 피하고, 정해둔 예산 안에서만 행동하는 것이죠. 그렇게 하니 금전적 손실이 있어도 감정적으로 휘둘리지 않게 되더라고요. 또 하나, 지출과 투자 흐름을 기록하면서 나만의 기준이 생겼습니다. 이전까지는 ‘돈은 그냥 쓰는 것’이었지만, 이젠 ‘관리할 수 있는 도구’처럼 느껴지기 시작한 거죠. 이건 정말 큰 변화였습니다.
지금도 부자가 된 건 아닙니다. 다만, ‘돈이 어디서 새는지 알고, 어떻게 채워 넣는지’를 배웠다는 것만으로도 저는 재테크 초보로서 중요한 첫 걸음을 뗐다고 생각합니다. 월급이 많지 않아도, 투자 지식이 없어도 괜찮습니다. 중요한 건 아주 작게, 꾸준히 시작해보는 거예요. 이 글이 나처럼 ‘재테크를 해야 하는 건 알겠는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는’ 분들에게 작은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이 시작일 수 있습니다.